공지 | ♠♠ 2011년 새내기공부모임 공부계획 ♠♠
페이지 정보
작성자 실상사 작성일11-01-28 22:48 조회6,956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2011년 새내기 공부모임을 시작했습니다.
미처 알려드리지 못한 채, 그간 모임을 두 번 했습니다.
첫번째 모임에서는 공부계획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고
1/27(목) 두번째 모임부터 <1. 절에 대한 이해>를 마악 들어갔습니다.
새내기로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공부하실 분들을 환영합니다.
불기 2555(2011)년 새내기 공부모임 공부 계획
= 시 간 :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~11시30분
= 지도법사 : 원묵스님
= 총 무 : 김수미 님
= 지도법사 : 원묵스님
= 총 무 : 김수미 님
1. 절에 대한 이해
⑴ 행주좌와
① 차수 : 서서 차수하기(오른손으로 왼손을 감싼다), 앉아서 차수하기
② 안행 : 기러기 행렬. 한 줄로 다니기.
안행하다가 절할 때는 제일 앞사람만 한다.
③ 합장 : 손바닥 붙이기. 일심. 무분별. 온전함.
④ 절(저두, 오체투지례, 삼배례)
⑤ 궤좌. 장궤. 호궤(우슬착지)
⑥ 가부좌. 반가부좌. 평좌.
⑦ 우협와
⑵ 출입
① 법당 출입 ② 향촉 헌공 ③ 예배 ④ 대방 출입 ⑤ 대중이 있는 곳에 출입(앞으로)
⑶ 공양
① 탁발의 의미
② 발우공양의 몇 가지 원칙 - 평등공양. 응량. 음식명상. 청결공양.
③ 발우공양을 간소화한 한그릇, 빈그릇
④ 공양청
⑤ 아침의 죽과 사시공양
⑥ 저녁 공양(약석)
⑦ 삼정육, 오신채
⑧ 무차공양, 만발공양, 재.
⑨ 육법공양
① 법당 출입 ② 향촉 헌공 ③ 예배 ④ 대방 출입 ⑤ 대중이 있는 곳에 출입(앞으로)
⑶ 공양
① 탁발의 의미
② 발우공양의 몇 가지 원칙 - 평등공양. 응량. 음식명상. 청결공양.
③ 발우공양을 간소화한 한그릇, 빈그릇
④ 공양청
⑤ 아침의 죽과 사시공양
⑥ 저녁 공양(약석)
⑦ 삼정육, 오신채
⑧ 무차공양, 만발공양, 재.
⑨ 육법공양
⑷ 문
① 일주문
② 금강문
③ 천왕문
지국천왕 : 건달바왕. 비파. 칼.
증장천왕 : 구반다왕. 칼.
광목천왕 : 용왕. 여의주.
다문천왕 : 야차왕. 보탑. 극.
④ 해탈문
⑤ 불이문
① 일주문
② 금강문
③ 천왕문
지국천왕 : 건달바왕. 비파. 칼.
증장천왕 : 구반다왕. 칼.
광목천왕 : 용왕. 여의주.
다문천왕 : 야차왕. 보탑. 극.
④ 해탈문
⑤ 불이문
⑸ 경내 마당
① 석탑 ② 석등 ③ 종각 ④ 도량 구조(탑과 법당, 법당의 방위) ⑤ 당간지주와 당간 ⑥ 윤장대
① 석탑 ② 석등 ③ 종각 ④ 도량 구조(탑과 법당, 법당의 방위) ⑤ 당간지주와 당간 ⑥ 윤장대
⑹ 전각(당우)과 불보살
① 석가모니불 - 대웅전, 대웅보전, 영산전, 팔상전, 나한전, 응진전
항마촉지인, 천지인, 설법인, 시무외인, 여원인
좌보처 문수보살 우보처 보현보살
약사여래-석가모니불-아미타불
제화갈라보살 - 석가모니불 - 미륵보살
② 아미타불 - 미타전, 극락전, 무량수전, 무량광전, 아미타전
구품인
좌보처 관세음보살(자비) 우보처 대세지보살(희사)
법장서원 48원
③ 약사여래 - 약사전
약함
좌보처 일광보살 우보처 월광보살
약사여래 12대원
④ 비로자나불 - 적광전, 대적광전, 대방광전, 화엄전, 비로전, 보광전
지권인
석가모니불-비로자나불-아미타불
⑤ 미륵불 - 미륵전, 용화전
⑥ 관세음보살 - 원통전
관세음보살 32-33응신(관음경)
천수관음. 11면관음. 마두관음. 양류관음. 백의관음.
좌보처 남순동자 우보처 해상용왕
⑦ 문수보살 - 문수전
오대산 문수신앙, 지리산 문수신앙
⑧ 지장보살 - 지장전, 명부전
지장삼부경
좌보처 도명존자 우보처 무독귀왕
명부시왕
⑨ 아라한 - 응진전, 나한전, 영산전
16아라한, 500아라한, 1250아라한
⑩ 조사 - 조사전, 진영각
⑪ 화엄성중 - 금당 중단
천룡팔부
⑫ 나반존자 - 독성각, 천태각
⑬ 산신 - 산신각, 삼성각
⑭ 칠원성군 - 칠성각, 삼성각
⑮ 용왕 - 용왕각
⑯ 승방 - 설법전, 심검당, 노향각, 노향전, 응향각,...
⑰ 사물 - 범종각, 범종루, 원음각
① 석가모니불 - 대웅전, 대웅보전, 영산전, 팔상전, 나한전, 응진전
항마촉지인, 천지인, 설법인, 시무외인, 여원인
좌보처 문수보살 우보처 보현보살
약사여래-석가모니불-아미타불
제화갈라보살 - 석가모니불 - 미륵보살
② 아미타불 - 미타전, 극락전, 무량수전, 무량광전, 아미타전
구품인
좌보처 관세음보살(자비) 우보처 대세지보살(희사)
법장서원 48원
③ 약사여래 - 약사전
약함
좌보처 일광보살 우보처 월광보살
약사여래 12대원
④ 비로자나불 - 적광전, 대적광전, 대방광전, 화엄전, 비로전, 보광전
지권인
석가모니불-비로자나불-아미타불
⑤ 미륵불 - 미륵전, 용화전
⑥ 관세음보살 - 원통전
관세음보살 32-33응신(관음경)
천수관음. 11면관음. 마두관음. 양류관음. 백의관음.
좌보처 남순동자 우보처 해상용왕
⑦ 문수보살 - 문수전
오대산 문수신앙, 지리산 문수신앙
⑧ 지장보살 - 지장전, 명부전
지장삼부경
좌보처 도명존자 우보처 무독귀왕
명부시왕
⑨ 아라한 - 응진전, 나한전, 영산전
16아라한, 500아라한, 1250아라한
⑩ 조사 - 조사전, 진영각
⑪ 화엄성중 - 금당 중단
천룡팔부
⑫ 나반존자 - 독성각, 천태각
⑬ 산신 - 산신각, 삼성각
⑭ 칠원성군 - 칠성각, 삼성각
⑮ 용왕 - 용왕각
⑯ 승방 - 설법전, 심검당, 노향각, 노향전, 응향각,...
⑰ 사물 - 범종각, 범종루, 원음각
⑺ 사찰의 색채 - 탱화와 단청
① 괘불, 탱화
팔상도 / 삼세불회도 / 삼신불회도 / 열반도 / 영산회상도 / 아미타내영도 / 극락구품도
관세음보살도 / 지장보살도 / 명부시왕탱화 / 신중탱화 / 산신탱화 / 칠성탱화 / 조왕탱화 / 감로탱화
② 단청
③ 벽화
십우도 / 안수정등 / 조사행장 / 산수도, 화조도
⑻ 법구
① 불전사물(법고, 범종, 목어, 운판) ② 목탁 ③ 염주 ④ 죽비 ⑤ 요령 ⑥ 반자(금고)
① 괘불, 탱화
팔상도 / 삼세불회도 / 삼신불회도 / 열반도 / 영산회상도 / 아미타내영도 / 극락구품도
관세음보살도 / 지장보살도 / 명부시왕탱화 / 신중탱화 / 산신탱화 / 칠성탱화 / 조왕탱화 / 감로탱화
② 단청
③ 벽화
십우도 / 안수정등 / 조사행장 / 산수도, 화조도
⑻ 법구
① 불전사물(법고, 범종, 목어, 운판) ② 목탁 ③ 염주 ④ 죽비 ⑤ 요령 ⑥ 반자(금고)
⑼ 절의 하루 생활
① 도량석 ② 종송, 종송의 의미 ③ 사물 ④ 아침 예불(예불문 축원 반야심경)
⑤ 아침 공양 ⑥ 상강례(상강례 해석) ⑦ 사시 불공(천수경 간략 해석
삼보통청 간략 해석
언제 서고, 언제 앉고, 언제 절하는가?
마지 저숫는 법
⑧ 사시 공양
오후불식의 전통
법공양 - 소심경 해석
⑨ 저녁 공양
약석
⑩ 사물
⑪ 저녁 예불
⑫ 목탁석
⑬ 삼경 명종
① 도량석 ② 종송, 종송의 의미 ③ 사물 ④ 아침 예불(예불문 축원 반야심경)
⑤ 아침 공양 ⑥ 상강례(상강례 해석) ⑦ 사시 불공(천수경 간략 해석
삼보통청 간략 해석
언제 서고, 언제 앉고, 언제 절하는가?
마지 저숫는 법
⑧ 사시 공양
오후불식의 전통
법공양 - 소심경 해석
⑨ 저녁 공양
약석
⑩ 사물
⑪ 저녁 예불
⑫ 목탁석
⑬ 삼경 명종
⑽ 절의 세시
① 설날(음1.1)
통알(세알)
새배
② 입춘 기도(양2.4)
삼재기도
③ 동안거 해제. 정월대보름(음1.15)
방생법회
④ 출가재일(음2.8)
⑤ 열반재일(음2.15)
⑥ 연등운력
⑦ 부처님오신날(음4.8)
관불
연등법회
⑧ 하안거 결제(음4.15)
⑨ 칠석(음7.7)
⑩ 백중, 하안거 해제(음7.15)
백중영가천도
⑪ 추석(음8.15)
⑫ 동안거 결제(음10.15)
⑬ 동지기도(양12.22)
⑭ 성도재일(음12.8)
① 설날(음1.1)
통알(세알)
새배
② 입춘 기도(양2.4)
삼재기도
③ 동안거 해제. 정월대보름(음1.15)
방생법회
④ 출가재일(음2.8)
⑤ 열반재일(음2.15)
⑥ 연등운력
⑦ 부처님오신날(음4.8)
관불
연등법회
⑧ 하안거 결제(음4.15)
⑨ 칠석(음7.7)
⑩ 백중, 하안거 해제(음7.15)
백중영가천도
⑪ 추석(음8.15)
⑫ 동안거 결제(음10.15)
⑬ 동지기도(양12.22)
⑭ 성도재일(음12.8)
2. 절의 생활 - 수행
⑴ 참회 수행
⑵ 선 수행(명상)
⑶ 간경(독경)
⑷ 사경
⑸ 염불
⑹ 다라니
⑺ 절 수행
⑻ 기도 발원
⑴ 참회 수행
⑵ 선 수행(명상)
⑶ 간경(독경)
⑷ 사경
⑸ 염불
⑹ 다라니
⑺ 절 수행
⑻ 기도 발원
3. 불교인으로 사는 길 - 계율
⑴ 계율이란
① 계와 율
② 계율 제정 이유
③ 수범수제
④ 방비지악
⑤ 삼취정계
⑴ 계율이란
① 계와 율
② 계율 제정 이유
③ 수범수제
④ 방비지악
⑤ 삼취정계
⑵ 삼귀의계
① 귀의불계
② 귀의법계
③ 귀의승계
① 귀의불계
② 귀의법계
③ 귀의승계
⑶ 오계
① 살
② 도
③ 음
④ 망
⑤ 주
① 살
② 도
③ 음
④ 망
⑤ 주
⑷ 팔재계
① 재경 - 6재일
② 6수념
③ 8재계
① 재경 - 6재일
② 6수념
③ 8재계
⑸ 보살계
① 십중계
② 48경계
③ 삼취정계
① 십중계
② 48경계
③ 삼취정계
⑹ 사미계
① 사미란?
② 사미십계
① 사미란?
② 사미십계
⑺ 식차마나계
① 식차마나란?
② 식차마나계
① 식차마나란?
② 식차마나계
⑻ 구족계
① 비구, 비구니
② 수계, 환계
③ 승랍(법랍), 안거수
④ 화상, 아사리, 장로
⑤ 법계
① 비구, 비구니
② 수계, 환계
③ 승랍(법랍), 안거수
④ 화상, 아사리, 장로
⑤ 법계
⑼ 포살
① 포살의 유래
② 절차
③ 의미
① 포살의 유래
② 절차
③ 의미
4. 불교인으로 사는 길 - 앎
⑴ 부처님의 생애
⑴ 부처님의 생애
⑵ 불교의 가르침
① 사성제 팔정도
② 삼법인
③ 12연기
④ 37보리분법
⑤ 업과 보
⑥ 윤회
⑦ 보살
① 사성제 팔정도
② 삼법인
③ 12연기
④ 37보리분법
⑤ 업과 보
⑥ 윤회
⑦ 보살
5. 불교인으로 사는 길 - 수행
⑴ 팔정도의 삶
⑵ 보리살타
⑶ 육바라밀
⑷ 회향
⑸ 삶과 수행
⑹ 무소유
⑺ 생명 살림
⑴ 팔정도의 삶
⑵ 보리살타
⑶ 육바라밀
⑷ 회향
⑸ 삶과 수행
⑹ 무소유
⑺ 생명 살림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