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라북도 유형문화재
남원 실상사 건칠아미타불좌상(南原 實相寺 乾漆阿彌陀佛座象)
건칠불은 흙으로 불상의 틀을 만들고 그 위에 종이나 삼베를 입혀 옻칠을 거듭한 뒤 채색하거나 도금한 불상이다.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에 주로 만들어졌다.
실상사 극락전에 봉안된 건칠아미타불좌상은 천을 10장 이상 겹치고 1cm 내외로 두껍게 옻칠을 하여 만들었다. 양발을 드러낸 채 결가부좌(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형태)를 하고 있는 이 좌상은 전체적으로 체구가 늘씬하다. 얼굴이 가름하고 둥글어서 이목구비가 부드러워 보이는 이 좌상은 가슴의 양감이 강조되어 있다. 승각기(드러난 가슴을 가리는 속옷)와 군의(허리에서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긴 치마 모양의 아래옷), 군의를 묶은 띠 매듭과 옷 주름은 입체적이면서 자연스럽다.
전라북도 유형문화재
남원 실상사 건칠아미타불좌상(南原 實相寺 乾漆阿彌陀佛座象)
건칠불은 흙으로 불상의 틀을 만들고 그 위에 종이나 삼베를 입혀 옻칠을 거듭한 뒤 채색하거나 도금한 불상이다.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에 주로 만들어졌다.
실상사 극락전에 봉안된 건칠아미타불좌상은 천을 10장 이상 겹치고 1cm 내외로 두껍게 옻칠을 하여 만들었다. 양발을 드러낸 채 결가부좌(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형태)를 하고 있는 이 좌상은 전체적으로 체구가 늘씬하다. 얼굴이 가름하고 둥글어서 이목구비가 부드러워 보이는 이 좌상은 가슴의 양감이 강조되어 있다. 승각기(드러난 가슴을 가리는 속옷)와 군의(허리에서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긴 치마 모양의 아래옷), 군의를 묶은 띠 매듭과 옷 주름은 입체적이면서 자연스럽다.